2024 SIPFF 11.7(Thu.) ~ 11.13(Wed.)

언더독: 한국퀴어영화 감독 인터뷰집





책 소개

우리나라 퀴어 영화 감독들의 목소리를 기록하다. 언더독: 한국퀴어영화 감독 인터뷰집은 ‘한국퀴어영화사’ 연작이 한국영화사적 접근을 통해 ‘퀴어영화는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이어 감독 인터뷰를 통해 그 질문의 해답을 찾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언더독: 한국퀴어영화 감독 인터뷰집은 퀴어영화 창작자들의 목소리를 한 자리에 모아 퀴어영화의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짓고 이를 통해 다시금 질문하는 자리로서 제작되었습니다.



저자 소개

이동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연출, 시나리오, 영상이론을 공부했습니다.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와 함께 2019년부터 ‘한국퀴어영화사’ ‘한국트랜스젠더영화사’ ‘한국레즈비언영화사’ ‘한국게이영화사’를 책임편집했고 2023년에는 ‘한국퀴어영화전집’ 영문판을 집필하여 출간했습니다.영화제 프로그래머, 평론가로 활동하며 영화 창작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퀴어 영화 감독들의 목소리를 기록하다. 언더독: 한국퀴어영화 감독 인터뷰집은 ‘한국퀴어영화사’ 연작이 한국영화사적 접근을 통해 ‘퀴어영화는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이어 감독 인터뷰를 통해 그 질문의 해답을 찾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언더독: 한국퀴어영화 감독 인터뷰집은 퀴어영화 창작자들의 목소리를 한 자리에 모아 퀴어영화의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짓고 이를 통해 다시금 질문하는 자리로서 제작되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이동윤) 


1장. 퀴어영화와 퀴어운동의 경계에서

-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김조광수, 이동하, 이송희일 감독 대담

- 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김일란, 한영희, 변규리, 이혁상 감독 대담

- 퀴어, 여성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김해정, 이영, 정소희 감독 대담

- 감독과 활동가 사이에서: 권아람, 서아현 감독 대담


 2장. 퀴어 재현의 (불)가능성

- <도희야>와 정주리 감독

- <벌새>와 김보라 감독

- <담쟁이>, <우리는 천국에 갈 순 없지만 사랑은 할 수 있겠지>와 한제이 감독

- 가족과 게이의 삶: 이동은, 안주영 감독 대담

- 퀴어영화와 게이 혐오: 남연우, 이원영, 박근영 감독 대담 


3장. 퀴어영화를 만들기 위한 전략들

- 민규동 감독님의 퀴어한 작품 세계

- <비밀은 없다>와 이경미 감독

- 여성영화를 퀴어링하다: 김희정 감독

- BL의 갓다슬: 황다슬 감독 


4장. 퀴어영화의 남겨진 숙제

- 퀴어영화 감독의 지속 가능성: 김태용, 손태겸 감독 대담

- 나의 첫 번째 퀴어영화: 박준호, 이유진 감독 대담

- 퀴어한 영화언어를 탐구하다: 김경묵, 이소정, 홍민키 감독 대담